반응형
세주아니 하기 전 꼭 알아야할 6가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gam-ing/lol

세주아니 하기 전 꼭 알아야할 6가지

안녕하세요. 스킬 구성이 간단해서 굉장히 쉬운 세주아니이지만, 디테일을 알아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1. 아군 조합 무시하고 세주아니 픽 금지 아군 탑이나 미드가 어떤 픽을 할지 아직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무지성 픽을 하면 세주아니의 맛을 살리기 어렵습니다. 아군 탑이나 미드가 근접 AD 챔프일 때만 픽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 이유는 세주아니의 E 스킬 스택은 오직 아군 근접 챔피언의 기본 공격으로만 함께 쌓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러니 솔랭할 때 아군 픽을 보고 고르거나, 아군보다 먼저 고를 때는 뭐할 건지 물어보는 습관을 가지도록 합시다. 2. 세주아니 패시브 잘 이해하기 저도 세주아니 패시브를 자세히 몰랐는데 몇 가지 중요한 점이 있었습니다. 먼저 서리 갑..

2023.01.03 게시됨

크산테 스킬 상세 뜯어보기, 꿀팁과 필수 지식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gam-ing/lol

크산테 스킬 상세 뜯어보기, 꿀팁과 필수 지식

안녕하세요. 노트북도 하나 장만했겠다 정말 오랜만에 각 잡고 랭크를 시작했습니다. 저는 안 그래도 손이 삐꾸인데 에이징커브까지 맞아버리니 랭크할 때는 탱커 위주로 하는 게 승률이 잘 나옵니다. 데이터를 살펴보니 신챔 크산테가 퍼포먼스가 좋고 탱커 챔피언임을 고려하면 재미도 있어보여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아무 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해봤는데 제대로 알고 하면 훨씬 더 좋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겠더라구요. 참고한 자료는 리그오브레전드 공식 홈페이지/op.gg/lol.ps/장인들의 유튜브 등입니다. 그럼 ㄱㄱ 우선 크산테 강의 영상을 쭉 보니, 탱커임에도 불구하고 스킬을 활용해서 의외의 킬각을 볼 수 있는 챔피언이고 아직 신챔이다보니 사람들이 잘 몰라서 상위 티어에서도 많이 당해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2022.12.29 게시됨

(T1 올드팬의) 2022 롤드컵 결승 T1 vs DRX 밴픽 분석 및 예측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gam-ing/lol

(T1 올드팬의) 2022 롤드컵 결승 T1 vs DRX 밴픽 분석 및 예측

안녕하세요. 저는 2013년 SKT T1 K 시절부터 T1을 응원해 온 올드팬 아르모트입니다. T1과 Faker의 통산 네 번째 롤드컵 우승까지 단 한 걸음, 단 하루 남은 이 시점에서 그동안의 밴픽 데이터를 분석하여 결승전 밴픽을 조심스럽게 예측해보고자 합니다. 데이터 분석을 하기에 앞서, '어떤 챔피언을 밴해야 할까?' 에 대한 원론적인 내용을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1. 가장 단순하게는 우리 조합 핵심픽의 카운터 챔피언 만약 두 팀 중 한 팀이 각각 지난 경기에서 보여준 서폿 딩거를 활용한 봇 잠그기 전략을 결승에서도 쓰게 된다면, (아마 T1 바텀 듀오가 파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DRX 쪽에서 쓸 가능성이 조금은 높을 것으로 예상) 분명 이를 뚫어낼만한 조합을 이미..

2022.11.05 게시됨

(T1 올드팬의) 2022 롤드컵 결승 T1 vs DRX 를 앞두고 써본 글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gam-ing/lol

(T1 올드팬의) 2022 롤드컵 결승 T1 vs DRX 를 앞두고 써본 글

2016년 마지막으로 롤드컵을 우승하고, 2017년 결승에서의 패배하며 눈물을 보였던 페이커. 팬들도 함께 울었었죠. 이후 몇 년 동안 단 한 번도 허락되지 않았던 롤드컵 결승 무대. 2022년 Worlds, 드디어 T1과 Faker가 다시 한 번 롤드컵 결승의 무대를 밟게 되었습니다. 일주일 내내 설레는 마음으로 T1 이나 DRX 관련 영상을 찾아서 보고, 락커룸이나 히든 트랙 등등 예전 T1 영상 등을 복습하면서 (KST)일요일 아침에 치러질 결승전을 기다리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2년 전에 올라왔던 티래블러 영상을 다시 보면서 이번에 우승하고 다시 이런 컨텐츠가 나오면 얼마나 좋을까 싶더라구요. 이번 롤드컵 결상의 상대는 롤드컵 선발전부터 플레이인 스테이지, 그룹 스테이지, 8강, 4강까지 기적의..

2022.11.04 게시됨

반응형